알고리즘19 [BaekJoon] 2525번 오븐 시계 2525번 오븐 시계 이 문제는 KOI 전자에서 오븐을 만들기 위해 자동적으로 시간을 계산해주는 인공지능 오븐을 만드는 문제이다. 두 번 째 줄에 있는 시간과 분을 더했을 때 60을 넘으면 시간에 1을 더해주고 나머지 60을 초과하고 남은 숫자는 분에 남게 해준다. 그리고 디지털 시계 특성상 23:59분에서 1분을 더해주면 00:00으로 바꿔준다.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6. 8. [BaekJoon] 2884번 알람시계 2884번 알람시계 이 문제는 늦게 일어나는 상근이를 위해 설정한 시간보다 45분 빨리 울리게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이다. M(분)이 45보다 클 때는 그냥 45를 바로 빼주면 되는데 아닐 때 00시(정각)에는 H(시)을 23으로 고정 시켜주고 M에다가 60을 더해준뒤(예를 들어 M에 3을 입력했으면 63이다.) 그리고 출력할 때 M(분)에 45를 빼주면 된다(예 63 - 45 = 18) 그리고 H(시)가 00시가 아닐 때는 그냥 1을 빼주고 아까와 똑같이 M에 60을 더해주면 된다. H, M = map(int, input().split()) if M < 45: if H == 0: H = 23 M += 60 else: H -= 1 M += 60 print(H, M-45)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5. [BaekJoon] 14681번 사분면 고르기 14681번 사분면 고르기 좌표에서 x와 y가 음수인지 양수인지 판단하여 1사분면인지 2사분면인지.. 4사분면인지 확인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x = int(input()) y = int(input()) if x > 0 and y > 0: print('1') elif x 0: print('2') elif x < 0 and y < 0: print('3') else: print(4)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5. [BaekJoon] 2753번 윤년 2753번 문제 윤년 조건만 잘 맞춰서 프린트 해주면 됩니다. if문에서 조건으로 먼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닌 년도를 확인해주면 됩니다.[(year%4 == 0)and(year%100 != 0)] 그리고 400의 배수인지 확인해주면[(year%400 == 0)] 윤년이 되니까 1을 출력해주고, 위 조건들을 충족하지 못 하면 윤년이 아니니 0을 출력해주면 됩니다. year = int(input()) if ((year%4 == 0)and(year%100 != 0)) or (year%400 == 0): print('1') else: print('0')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5. [BaekJoon] 9498번 시험 성적 9498번 문제 시험 성적 이 문제도 별로 어려운 문제가 아닙니다. 조건문을 사용하고 else if가 파이썬에서는 elif라는 것만 주의하시면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a = int(input()) if a >= 90 and a = 80 and a = 70 and a = 60 and a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5. [BaekJoon] 1330번 두 수 비교하기 1330번 문제 두 수 비교하기 파이썬을 하실 때 들여쓰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A가 클 때 > 출력 B가 클 때 B: print('>') elif A < B: print('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0. [BaekJoon] 10172번 개 10172번 문제 개 전에 풀었던 고양이 문제에서 좀 더 심화된 문제인데요 이번에는 큰 따옴표를 출력해야합니다. 세 번째 줄에서 마지막 \' 앞에 \를 한 번 더 넣어주시고요 마지막줄 \\앞에 \를 한 번더 넣어주시면 됩니다. print("|\_/|") print("|q p| /}") print('( 0 )"""\\') print('|"^"` |') print("||_/=\\\__|")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0. [BaekJoon] 10171번 고양이 10171번 문제 고양이 단순히 print문을 사용해서 출력과 같은 고양이를 만들면 되는 문제입니다. 이제 여기서 문제는 작은 따옴표(' ') 이친구를 출력을 하려면 큰 따옴표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모든 print문에 큰 따옴표를 사용해도 되고 두 번째 print문에만 큰 따옴표를 넣어도됩니다. 편하신대로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print('\\ /\\') print(" ) ( ')") print('( / )') print(' \\(__)|')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0. [BaekJoon] 11382번 꼬마 정민 11382번 문제 꼬마 정민 A와 B와 C를 한 줄로 입력받고 A,B,C를 더해주면 되는 아주 간단한 문제이다. A, B, C = map(int, input().split()) print(A+B+C)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20. [BaekJoon] 2588번 곱셈 백준 2588번 곱셈 a(정수형)와 b(문자열)으로 입력을 받고 문자열은 배열 형태로 입력받기 때문에 숫자 세 개를 입력받아 0,1,2 이렇게 진행되기 때문에 끝에있는 문자를 숫자형으로 바꿔주고 a와 곱해줍니다. 이런 방식을 0번지까지 진행해주면 출력이 잘 되게됩니다. a=int(input()) b=input() print(a*int(b[2])) print(a*int(b[1])) print(a*int(b[0])) print(a*int(b))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8. [BaekJoon] 10430번 나머지 백준 10430번 문제 나머지 A와 B, C를 한 줄로 입력받고 첫째 줄에 (A+B)%C, 둘째 줄에 ((A%C) + (B%C))%C, 셋째 줄에 (A×B)%C, 넷째 줄에 ((A%C) × (B%C))%C를 출력해줍니다. A,B,C = map(int, input().split()) print((A+B)%C, ((A%C)+(B%C))%C, (A*B)%C, ((A%C)*(B%C))%C, sep='\n') #sep='\n'으로 줄바꿈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8108번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백준 18108번 문제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불교년도와 서기년도가 543년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불교년도를 입력하면 543년을 빼주고 출력해주면 됩니다. bul = int(input()) year = bul-543 print(year)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0926번 ??! 백준 10926번 문제 ??! 입력을 받고 뒤에 ??!를 더해주기만 하면 됩니다. a = input() print(a+'??!')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0869번 사칙연산 백준 10869번 문제 사칙연산 A와 B를 한 줄로 입력하고 사칙연산을 순서대로 출력해줍니다. A, B = map(int,input().split()) print(A+B) #더하기 print(A-B) #빼기 print(A*B) #곱하기 print(A//B) #몫 구하기 print(A%B) #나머지 구하기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008번 A ÷ B 백준 1008번 문제 A ÷ B A와 B를 한 줄로 입력하고 A와 B를 곱해준뒤 출력해주면 됩니다. split을 사용해 공백이 분류의 기준으로 잡아주면 됩니다. 그리고 map이라는 함수는 map(변환 함수, 순회 가능한 데이터) 이런 식으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파이썬은 입력받으면 함수가 String형식으로 바뀌기 때문에 int와 같이 숫자 변수로 바꿔줘야 합니다. 물론 변수를 하나씩 int로 바꾼다면 map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지금은 A와 B를 동시에 int로 바꿔주기 위해 map함수를 사용해줍니다. [split() == split('')] A, B = map(float, input().split()) print(A/B)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0998번 A × B 백준 10998번 문제 A × B A와 B를 한 줄로 입력하고 A와 B를 곱해준뒤 출력해주면 됩니다. split을 사용해 공백이 분류의 기준으로 잡아주면 됩니다. 그리고 map이라는 함수는 map(변환 함수, 순회 가능한 데이터) 이런 식으로 사용하시면 되는데 파이썬은 입력받으면 함수가 String형식으로 바뀌기 때문에 int와 같이 숫자 변수로 바꿔줘야 합니다. 물론 변수를 하나씩 int로 바꾼다면 map을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지금은 A와 B를 동시에 int로 바꿔주기 위해 map함수를 사용해줍니다. [split() == spli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7. [BaekJoon] 1001번 A - B 백준 1001번 문제 A - B A와 B를 입력하면 빼주면 됩니다. 단 A와 B를 한 줄에 입력을 받아야 합니다. split을 사용해 공백이 분류의 기준으로 잡아주면 됩니다. [split() == spli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6. [BaekJoon] 1000번 A + B 백준 1000번 문제 A + B A와 B를 입력하면 더해주면 됩니다. 단 A와 B를 한 줄에 입력을 받아야 합니다. split을 사용해 공백이 분류의 기준으로 잡아주면 됩니다. [split() == split('')]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6. [BaekJoon] 2557번 Hello World 백준 1000번 문제 Hello World Hello World를 출력하면 되는 아주 간단한 문제입니다. print('Hello World!') 알고리즘/[BaekJoon]Python 2023. 5. 16. 이전 1 다음